장염비브리오균
특성
단간균, 통성혐기성
생존을 위해 염요구 : 호염균(3~5%), 염도 10% 이상에서 생장 정지
하절기에 주로 발생
증상 : 두통,복통,설사,메스꺼움,발열
잠복기 : 4~96시간 (평균15hr)
병증 기간 : 4~7일
감염원 : 바닷물, 흙, 해초, 플랑크톤, 해수어 및 패류의 생식
감염량 : 10,000,000균 이상이나 증식력 높음
60℃ 15분 가열로 사멸
예방법 : 생식 피함, 냉장보존 및 수세 손, 조리기구 청결 유지
Vibrio vulnificus : 패혈증 유발
장염비브리오(원인균 : Vibrio parahaemolyticus)는 바닷물에서 생존하는 식중독균으로, 최근 3년간(‘17~’19년) 여름철(8~9월)에 장염비브리오전체 환자(597명)의 78%가 집중적으로 발생했습니다.
- 주요 발생지는 음식점이며, 오염된 어패류를 날것으로 먹고 구토,복통 및 설사 등의 증상을 보였습니다.
대증 치료 : 경구 또는 정맥으로 수분, 전해질 신속히 보충
항생제 치료 : 심한 설사, 혈류 감염 등 중증 시 투여
⨳ 장염 비브리오 발생 현황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예방수칙
재료 보관 : 신선한 어패류를 구매하여 신속히 냉장보관(5℃ 이하)
조리하는 사람 : 반드시 비누 등 세정제를 사용하여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철저하게 손 씻기
조리 도구 : 칼과 도마는 전처리용과 횟감용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이미 사용한 도구는 세척 후 열탕 처리하여 2차 오염 방지
재료 준비 : 어패류를 수돗물로 2~3회 깨끗이 씻기
조리 시 : 냉동 어패류는 냉장고 등에서 안전하게 해동 후 흐르는 수돗물로 잘 씻고, 속까지 충분히 익을 수 있도록 가열
조리조건 : 음식물 내부온도가 85℃ 이상이 되도록 하여 1분 이상 가열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Q&A
Q 장염비브리오균이란 무엇입니까?
▶ 학명은 Vibrio parahaemolyticus 입니다. 바닷물에 생존하는 식중독균으로 연안 해역의 바닷물, 갯벌, 어패류에서 주로 검출됩니다.
▶ 여름철 따뜻한 바닷물에서 증식한 장염비브리오균이 생선, 조개, 오징어 등의 표피, 아가미, 내장 등에 부착하여 이를 섭취한 사람에게 식중독을 일으킵니다.
▶ 바닷물 온도가 15℃ 이상이 되면 증식을 시작하며, 20~37℃에서 매우 빠르게 증식하여 3~4시간 만에 100만배로 증가합니다. 5℃ 이하에서는 잘 자라지 못합니다.
▶ 염분을 좋아하는 균(호염균)으로, 민물에서는 급격히 생존력이 약화 됩니다. 또한 열과 산성(식초, 레몬즙 등)에 약합니다.
Q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감염 경로는 어떻게 됩니까?
▶ 장염비브리오균에 오염된 생선회, 초밥, 조개, 오징어 등 해산물을 날로 먹거나 충분히 익히지 않고 섭취하는 경우, 조리과정에서 오염된 도마나 칼 등 조리도구와 조리자의 손에 의해 2차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 등
Q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증상은 무엇입니까?
▶ 오염된 음식 섭취 후 3~40시간 내(통상 12시간 이상)에 구토, 복부경련, 미열, 오한을 동반한 위장염과 설사(주로 물 설사이며 경우에 따라 피가 섞인 설사) 증상이 나타납니다.
Q 장염비브리오식중독을 일으키는 균은 몇 °C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요리해야 죽나요?
▶ 보통 60°C에서 15분 이상, 80°C에서 7~8분 이상 요리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Q 장염비브리오식중독에 걸렸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임상증세만으로는 확진할 수 없으며, 생선회를 먹은 기왕력이 있으면 진단에 도움이 되지만, 확진은 환자의 대변이나 식품에서 장염비브리오균을 분리해야만 가능합니다.
'HACCP 시스템 > 위해요소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 오염균의 특성_노로바이러스 (0) | 2021.04.30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