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7

HACCP 7원칙 12절차_절차4.공정흐름도 작성 (준비단계) 공정흐름도 (제조공정도 등) 네 번째 준비단계로 HACCP 팀은 업체에서 직접 관리하는 원료의 입고에서부터 완제품의 출하까지 모든 공정단계들을 파악하여 공정흐름도(Flow diagram)를 작성하고 각 공정별 주요 가공조건의 개요를 기재합니다. 이때, 구체적인 제조공정별 가공방법에 대하여는 일목요연하게 표로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작업특성별 구획, 기계·기구 등의 배치, 제품의 흐름과정, 작업자 이동경로, 세척·소독조 위치, 출입문 및 창문, 공조시설계통도, 용수 및 배수처리 계통도 등을 표시한 작업장 평면도(Plant schematic)를 작성합니다. 이러한 공정흐름도와 평면도는 원료의 입고에서부터 완제품의 출하에 이르는 해당식품의 공급에 필요한 모든 공정별로 위해요소의 교차오염 또는 2차.. 2021. 5. 8.
HACCP 7원칙 12절차_절차3.제품용도 확인(준비단계) 제품 용도 확인 세 번째 준비단계는 해당식품의 의도된 사용방법 및 대상 소비자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그대로 섭취할 것인가, 가열조리 후 섭취할 것인가, 조리 가공방법은 무엇인가, 다른 식품의 원료로 사용 되는가 등 예측 가능한 사용방법과 범위, 그리고 제품에 포함될 잠재성을 가진 위해물질에 민감한 대상 소비자(예, 어린이, 노인, 면역관련 환자 등)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이런 자료는 위해평가와 위해요소의 한계기준 결정에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2021. 5. 8.
HACCP 7원칙 12절차_절차2.제품설명서 작성(준비단계) 제품설명서 작성 두 번째 준비단계는 제품설명서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제품설명서에는 제품명, 제품유형 및 성상, 품목제조보고연월일, 작성자 및 작성연월일, 성분(또는 식자재)배합비율 및 제조(또는 조리)방법, 제조(포장)단위, 완제품의 규격, 보관·유통(또는 배식)상의 주의사항, 제품용도 및 유통(또는 배식)기간, 포장방법 및 재질, 표시사항, 기타 필요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제품설명서의 각 사항의 작성 시 다음 사항을 참고하면 제품설명서 작성에 도움이 됩니다. 1. 제품명 - 제품명은 식품제조·가공업체의 경우 해당관청에 보고한 해당품목의 “품목 제조(변경)보고서”에 명시된 제품명과 일치하여야 합니다. 2. 제품유형 - 제품유형은 “식품공전”의 분류체계에 따른 식품의 유형을 기재합니다. 3. 성상 .. 2021. 5. 8.
HACCP 7원칙 12절차_절차1.해썹(HACCP)팀 구성(준비단계) 해썹(HACCP)팀 구성 해썹(HACCP) Plan 개발의 첫 번째 준비단계는 업체 내에서 해썹(HACCP) Plan 개발을 주도적으로 담당할 해썹(HACCP)팀을 구성하는 것입다. 업체의 해썹(HACCP) 도입과 성공적인 운영은 최고경영자의 실행 의지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해썹(HACCP)팀을 구성할 때는 어떤 형태로든 최고경영자의 직접적인 참여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업체내 핵심요원들을 팀원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해썹(HACCP) Plan의 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해썹(HACCP)팀의 규모는 업체 규모 및 여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정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해썹(HACCP) 팀장은 업체의 최고책임자(영업자 또는 공장장)가 되는 것을 권장하며, 팀원은 제조·작업 책임자, 시설·설.. 2021. 5.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