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7

식육의 정의 식육의 정의 식육은 축산물 가공 처리법에서 정하는 식용을 목적으로 하는 가축의 지육, 정육, 내장, 그 밖의 부분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식육은 모든 동물의 근육만을 뜻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근육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적육뿐만 아니라 지방, 내장 가식부 등도 포함한다는 뜻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식육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식육이란 소, 면 산양, 돼지 등의 골격근육의 가식부, 혀, 횡격막. 심장, 식도, 기타 내장 등의 가식부 및 이에 따르는 지방 부분을 포함한다. 또 근육 중에 내포된 뼈, 껍질, 힘줄, 신경, 혈관 등에 있어 가공 처리하여도 제거할 수 없는 부분은 포함되나, 입술, 코 등의 근육은 포함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미국의 경우와.. 2021. 4. 7.
식육의 역사(2) 우리나라 식육의 역사 우리나라에서 가축이 사육된 역사는 수천 년에 달하는 삼한(三韓) 시대 이전이라고 봅니다. 우리 민족은 구미 민족과 달리 유목 시대가 별로 없었기 때문에 축산은 양식을 얻기 위함보다는 오히려 농업을 위한 존재였습니다. 고대사회에 있어서 농업, 즉 농경은 천하의 근본이라고 하였으며, 곡류 식생활을 주로 하는 생활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가축과 농업과의 관계가 희박하고 양식으로서의 고기류의 위치가 대단히 낮았음이 사실입니다. 다시 말하면 축산이 농업의 개념에 들어가지도 않았으며 식품의 개념에도 들어가지 아니한, 근본적으로 구조적인 결함이 내재되었다는 사실입니다. 가축의 사육 목적을 보면 말의 경우는 운반용이나 교통수단 또는 교역용(交易用)이었고, 소는 밭갈이 또는 교통수단 등 주로 역용.. 2021. 4. 6.
식육의 역사(1) 1. 식육(食肉)의 역사(歷史) 인간이 고기를 먹기 시작한 때가 언제라고 정확히 꼬집어 이야기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나 인류가 가축에서 얻어지는 고기를 먹기 시작한 것은 지구상에 원인(原人)이 나타났을 때부터의 일이라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 이유인즉 인간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야생동물들과 끊임없는 투쟁을 하여야 했을 것이며, 이러한 투쟁 과정에서 사살된 동물 몸에서 얻어진 고기를 양식으로 먹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먹는 방법도 생활양식이나 문명의 발전 정도에 따라 변화되어서 불을 이 용하기 전에는 고기를 날것으로 먹었을 것이며, 불을 사용하기 시작한 후부터는 구워서 또는 삶아서 먹게 되었을 것입니다. 인류학자들에 의하면 인류가 나타나 혈거(穴居) 생활을 시작한 것이 구석기시대의 후기로 대체.. 2021. 4. 5.
HACCP 시스템 이해하기_EP04 HACCP 평가 이해하기 정기평가 가) 법적근거 :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66조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은 법 제48조제8항에 따라 식품 및 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적용을 받은 업소에 대하여 식품 및 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의 준수 여부 등에 관하여 매년 1회 이상 조사·평가할 수 있다.” 나) HACCP 적용업소의 조사·평가 점수에 따른 차등관리 1. 정기 조사·평가 점수의 백분율이 95% 이상인 경우 2년간 정기 조사·평가를 하지 아니 할 수 있으며, 해당업소가 자체적으로 조사·평가 실시. 다만, 배추김치, 기타김치, 즉석섭취식품, 신선편의식품 등 비가열섭취식품은 제외 2. 정기 조사·평가 점수의 백분율이 95% 미만에서 90% 이상인 경우 1년간 정기 조사. 가를 하지 아니할 수 있으며, 해당업소가 자체.. 2021. 4. 3.
반응형